247 Calendar

Friday, December 31, 2010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몇시간밖에 남지않은 2010년 즐겁게 보내시고, 행복한 새해를 맞으시길 바랍니다.
새해 첫 해를 우린 뛰면서 만나겠군요. 멋진데요. ㅎㅎㅎ

12/31/10--New Year's Eve

아줌마, 진 집사님 하고 뛰었습니다. 시원하더군요--겨울 비 맞으면서. New Year's Eve 잘 보내시고, 좋은 꿈 꾸고,  내일 아침에 뵈요.

ADMG!!!

Thursday, December 30, 2010

금요일

죄송합니다. 금요일 뵙죠. 좋은하루 보내세요.

Wednesday, December 29, 2010

감사합니다

기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회 아이들하고 수양회 잘 다녀왔어요. 아이들 이 여러분 기도 때문에 은혜 많이 받고 왔습니다. 토요일 뵈요.

Tuesday, December 28, 2010

오늘 처음 뛴 양정식씨

양정식씨를 소개합니다. 오늘 아침 정영교씨와 저와함께 3.5마일을 분에 완주했습니다. 처음이라 못 뛸거라 걱정하더니 3.5마일을 한번도 안 쉬고 이야기하면서 뛰더군요. 괴물입니다. ㅎ

Monday, December 27, 2010

12/26/10

X-mas  잘 보네신걸로 믿습니다. 여행 잘다녀오쎴지요? 아줌마, 곽권사님, 유집사님, 진집사님 하고 잘 뛰었지요--눈 도 않치웠는데...


아줌마 하고 유집사님.

저는 오늘 교회 Youth Group 하고 겨울 수양회 로 떠납니다. 기도 부탁 드립니다--학생들이 은혜 많이 받기를...

그리고... 우리 김병익 집사님 변호사 Bar Exam 준비 하시는데 기도 부탁 드립니다.

Ad Majorem Dei Gloriam!!!

Friday, December 24, 2010

Merry Christmas

오늘 모두다 잘 뛰셨읍니다. 여행 중이시고, 여행 떠나시는 가족들, 즐거운 시간 보내시고, 무사히 돌아오길 기원합니다.

오늘만 아니고 매일 매일 예수님에게 감사 하다고 기도합시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내일 아침에 뵈요.

Thursday, December 23, 2010

23일 아침 달리기

홍 Terry 선생님, 정영교 아저씨님을 모시고 아침에 뛰었습니다. 어르신들이 참 잘 뛰시더군요.ㅎㅎ

한국에서라면 각종 망년회 음주 후 안부를 여쭤야할 시기이지만, 여긴 워낙 건전한 곳이니 별일은 없으시지요? ^^
모두들 내일 뵙겠습니다.

Tuesday, December 21, 2010

회장님 수고 마이마이 하셨습니다.

늦게나마 지난 연말 파티겸 창립(?)모임에 우리 회장님 수고 마이 하셨고 감사 했습니다.
우리 모두 열심히 뛰면서 건강도 다지고 믿음안에서 서로 격려하면서 세상에 하나님의 좋은 영향을 끼치며 함께 할수 있길 빕니다.

Sunday, December 19, 2010

12/19/10. 7.5 Miles

우리 정 영교 씨 대단합니다. 곽 권사님 and 진 집사님 하고 7.5 마일 완주 하셨네요. 축하!!!

그리고, 김 집사님, 우리 247 Runners Club join 하신거 한영합니다!

서로 위해서 늘 기도 하고, spiritually and physically 발전 하기를 기원 합니다.

Ad Majorem Dei Gloriam!!!

2010 연말 파티




Thank you all for coming to the 247 Runners Club Christmas Party!

Saturday, December 18, 2010

12/18/10--Saturday



정 집사님 5 마일 완주 하는 모습. 축하 합니다.
우리 꼴통 아줌마 의 SEXY 한 모습

Wednesday, December 15, 2010

European Soon Dae

Without Blood Sausage, It Just Wouldn’t Be Christmas

Evan Sung for The New York Times
Mikaela Springsteen had a hand in the making of blood sausage at the New York Estonian House. More Photos »
“WE Estonians believe all kinds of things,” said Ell Tabur, a beaming blonde, her arms plunged to the elbow in a tub of barley, onions, blood and marjoram. Ms. Tabur was among about 30 Estonian-Americans who gathered on a recent Saturday to make traditional blood sausage for Christmas Eve at the New York Estonian House (Eesti Maja), a cozy town house near the mouth of the Midtown Tunnel.

Related Recipe

Ms. Tabur, who came to the United States as a baby in 1949, had been waxing lyrical about the Estonian love of meat, especially the onion-laced patties called hakklihakotletid, or more familiarly, kotlet.
“We believe that the Germans copied our hamburger, the Russians copied our piroshki and the Finns stole our sauna and went international with it,” she said.
But despite this litany of loss, all were cheerful during the long, gory hours stuffing verivorstid (blood sausage) mixture into casings. They switched effortlessly between English and Estonian, a language that many had learned in the house as children.
Siim Vanaselja, who was in charge of blood-sausage operations, said that in traditional Estonian village life, verivorstid were made immediately after the slaughter each autumn, when the weather turned cold and the cost of keeping animals warm and fed became too high. Bacon, ham and smoked sausages were laid down for the winter, but blood is highly perishable and must be cooked right away. So the fresh blood sausage was boiled, frozen and saved as a treat for Christmas Eve.
Before Mass, a group sauna was traditional; after Mass, families still sit down to a feast of sauerkraut simmered with fresh pork, roasted potatoes and blood sausages, always sparked with a tangy compote of cranberries or lingonberries. For Christmas dessert, thin crunchy gingersnaps (piparkook) might be paired with roosamanna, a soft pink fluff made by furiously whipping cranberry juice and farina with sugar, which transforms the mixture into an Adrià-worthy foam. “In the old days, kids would just whip the heck out of it, but I have always made it in my KitchenAid,” said Karin Annus Karner, the author of “Estonian Tastes and Traditions,” who is a producer at Reuters in New York. She is also a former principal of the language school at Estonian House.
This was the third time the Estonian community had gathered to make blood sausage, and there were still kinks to be worked out: Mr. Vanaselja ran short on blood and had to send his younger sister across town to Esposito’s, an Italian butcher shop that stocks Agriculture Department-certified beef blood. “We have never gone without verivorstid,” Herb Runne said. “There have always been old Estonian ladies to make it for us.” But now, he said, the community is concerned that the tradition will be lost if younger people do not learn to do it for themselves.
So all watched solemnly as Mr. Vanaselja tossed the onions and cooked barley, added allspice and marjoram (a typical Estonian herb, he said, because it grows everywhere), and poured in blood until the mixture was moist and glistening dark red like cranberry sauce. The casings, tied at one end with string, were rolled onto the ends of large plastic funnels. The mixture was prodded through until the casings were stretched into sausages about the size of kielbasa. The sausages were tied off into rings, to be boiled until firm; every participant would get two to take home.
The workers sometimes broke into rhythmic songs associated with tasks like weaving, harvesting and planting. “Estonian love songs are not between men and women but between people and the land,” said Ms. Tabur, a trained singer.
Estonian food is a recognizably cold-weather cuisine, Nordic in its dedication to the open-faced sandwich and remarkable for its resourcefulness with cabbage, potatoes, tart berries like cranberries and lingonberries, fish, bread and root vegetables. The house’s Girl Scout troop had just made some pickled pumpkin (korvitsasalat), which went nicely with the cooked sausage filling: loamy brown, scented with allspice and full of toothsome barley.
Estonia is the smallest of the Baltic states (the others being Latvia and Lithuania), and the most northern. Linguistically, Estonian is related to Finnish, but it is challenging for pretty much everyone else. “I have tried for years just to teach my dad the word for ‘dinner’ — it’s a pretty short word — and he still can’t say it,” said Mikaela Springsteen, 14, whose mother is Estonian-American. (For the record, the word is ohtusook, with three vowel sounds that are almost indistinguishable for non-Estonians.)
On Jan. 1, Estonia becomes a member of the European Monetary Union, although some at the house questioned whether the 1.3 million Estonians will again bear the burdens of powerful neighbors like Russia and Germany, who have often been Estonia’s occupiers. The biggest wave of immigration took place after the Soviet annexation of Estonia in 1940, and many of those present were first- or second-generation immigrants.
Blood sausages and blood puddings are traditions in almost every meat-eating culture: examples include Spanish morcilla, French boudin noir and Irish black pudding. But in American kitchens, blood is the final frontier of the nose-to-tail movement.
“It’s 7 percent of the animal down the drain,” said Brad Farmerie, who has taught blood sausage workshops to fellow chefs in New York. He learned the craft during his eight years in England, where the principle of using everything edible is firmly in place.
Here, even among those who cure sausages and cut up carcasses, he said, blood is still considered unappetizing and odd. “That’s why I try so hard to make it delicious,” he said. At his restaurant Public in NoLIta, there is Irish black pudding with maple-roasted apples for brunch; and at Double Crown on the Bowery, where the menu is based on British colonies in Asia, he serves a more elaborate Taiwanese dish. “It translates as pigs’-blood Popsicles,” he said, “and each one is a fried, spicy, tasty morsel of delight.” Pork blood (his favorite, though he has also cooked with venison, beef and rabbit) is mixed with sticky rice, sliced, fried, then coated in chili jam and rolled in chopped peanuts and cilantro. In workshops, Mr. Farmerie said, he teaches that blood has a similar protein structure to egg white (which quickly turns rubbery at high heat) and must be treated delicately.
At the Estonian House, where the sausages were boiled and then roasted at high temperature under a blanket of bacon, there were no such refinements.
Since 1947, this house has been an all-purpose base for the Estonian-American community in the United States — complete with a bar, open on weekends, that serves brown, malty Saku beer from Estonia. “I practically grew up in this building,” said Toomas Sorra, a gastroenterologist in Brooklyn Heights who was manning the bar (he is the group’s president). A few caterers also use the house as a distribution point for the tastes of home: rosolje, potato salad pink with beets; kringels, sweet Christmas breads shaped into pretzels; and moist, earthy Estonian sourdough loaves so dense that each one weighs more than three pounds.
According to Ms. Karner, the Estonian language is particularly rich in proverbs related to food: “young maidens and white bread age quickly,” “better a goat that can give milk than a cow who cannot” and, most pithily, “meat unites, cabbage divides.”
This article has been revised to reflect the following correction:
Correction: December 15, 2010
An earlier version of this article incorrectly stated that Estonia would become a member of the European Union on Jan. 1. Estonia is already a member of the European Union, and is joining the European Monetary Union on Jan. 1.

Saturday, December 11, 2010

정성호씨 추가 추카 합니다. 너무 쉽게 뛰셔서 뜨아~~~~~~

정성호씨 축하 합니다.

정성호씨 5마일 완주

오늘 정상호씨 5마일 완주했습니다. 축하해주세요. 젊은 피는 역시 다르네요.^^
새로운 주자. 내년이 기대됩니다.

Friday, December 10, 2010

12/11/10

내일은 오전 6:30 에 Independence Park 에서 모입니다.

Thursday, December 9, 2010

Smoking-New Study

<의학> "담배 한 모금도 혈관 막는다"
(자료사진)

(워싱턴 AP=연합뉴스) = 담배를 하루 단 한 개비 피우거나 남이 피운 담배연기를 한 모금만 들여 마셔도 동맥혈관을 막아 심장발작이 일어날 수 있다고 레지나 벤저민 미국공중보건국장이 9일 경고했다.

   벤저민 국장은 이날 '담배연기가 어떻게 질병을 일으키는가'라는 제목의 700페이지에 달하는 국민건강보고서를 통해 직접흡연과 간접흡연의 해독과 위험을 상세히 지적하면서 국민들에게 금연을 권고했다.

   벤저민 국장은 담배 연기를 한 모금 마시는 순간 7천여 가지나 되는 담배연기 속의 독성물질이 순식간에 몸 전체로 퍼지면서 폐는 물론이고 모든 기관의 세포에 DNA 손상을 일으킨다면서 담배연기는 극소량이라도 세포의 DNA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담배연기는 마시는 즉시 혈류로 스며들어 혈류의 화학성분에 변화를 일으키고 혈액을 끈적끈적하게 만들어 혈전이 형성되게 하며 이 때문에 동맥은 점점 좁아진다고 이 보고서는 지적했다.

   따라서 이미 동맥이 좁아져 있는 사람은 단 한 모금의 담배연기에도 좁아진 동맥이 막혀버려 심장발작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흡연자가 담배연기를 의도적으로 들여 마시든 비흡연자가 남이 피우는 담배연기를 자신도 모르게 들여 마시든 담배연기 노출에는 안전기준치라는 게 없다면서 따라서 평소에는 금연하더라도 파티 같은 사교모임에서 이따금 피우는 담배 한 개비가 그동안 소리 없이 혈전이 쌓여 좁아져 있던 동맥을 막아버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흡연의 해독은 폐나 혈관 손상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며 당뇨병 환자에게는 혈당조절을 방해하고 유산, 조산, 영아급사증후군 등 갖가지 건강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그러나 담배는 일단 끊으면 그 때부터 그 동안 손상되었던 신체기능이 회복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빨리 끊을수록 좋으며, 70-80대의 흡연자라도 담배를 끊으면 혜택이 돌아온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the biggest race to me by camille shim

the biggest race I ran before was a five kay and I came in first.there were alot of trees and moss and it was tiring but i made it.

달리기를 멈춰야 할 5가지 징후

우리는 달리는 동안 나타나는 몸의 불편함과 괴로움을 쉽게 무시하거나 훈련에 따르는 필연적인 현상으로 생각하고 이를 가볍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고통을 애써 무시할 경우 위험해질 수 있다. 다음의 현상이 나타나면 달리기를 멈춰야 한다.

상체의 불편함

심장질환(마비)의 증상은 때로 미묘하게 나타난다. 가슴, 팔, 목과 턱의 압박감이나 통증으로 나타날 수 있고 그 통증이 반드시 여러분이 무릎을 꿇고 주저앉을 정도로 심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 심장문제가 가슴이 터질 듯한 고통을 동반한다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가슴에 이상징후가 있으면 즉시 의료센터나 병원을 찾아야 한다.

어지럼증, 현기증, 구토

잠깐의 휴식을 취하면서 상황을 잘 판단해야 한다. 어지름증이나 구토의 원인이 아침을 거른 이유일 수 있고 더위와 관련하여 더 심각한 이유일 수도 있다. 훈련을 단축하는 게 바람직하다. 휴식이나 음식을 보충한 다음에도 더 나아지지 않으면 병원을 찾는 게 좋다.

숨가쁨

5분 이내에 숨을 헐떡거리거나 숨이 차면 휴식을 취해야 한다. 특히 공기를 들이마시기위해 숨을 헐떡이며 어깨를 들썩이지 않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분간 휴식해도 이 증상이 사라지지 않으면 바로 의료진을 찾아야 한다.

관절의 통증

자신에게 도전하는 과정에 근육통은 예상할 수 있지만 훈련중이나 훈련후에 관절의 통증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는 뼈와 건, 인대의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에 병원을 찾아야 한다.

불특정한 통증

통증은 우리 몸의 손상이 더 악화되지 않고 몸을 보호하기 위해 신체가 보내는 신호이다. 자신을 보호코자하는 이러한 본능적인 신호를 무시하고 계속 달릴 경우 부상은 매우 악화되기 마련이다. 가능한한 조속히 전문의를 찾아 진찰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처 : Runners' World(www.runnersworld.com)

토요일 뜁니다

토요일 부터 뛸랍니다. 아주 슬슬.. ㅎㅎ

워크 브레이크

뭐든 자기에게 유리하고 편한게 가장 먼저 보이게 마련이죠?
여기 저에게 아주 위안을 주는 마라톤 달리기 법이 있군요. 3-4분 달리고 1분 걷기. 마라톤 기록이 3시간 30분 이상인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는 달리기 법이라는 군요.

풀코스마라톤에서 얼마나 오래, 얼마나 자주 워크 브레이크를 실시해야하나?


마라톤에서 30km정도까지 실시하는 좋다고 추천된다. 그 지점이후는 워크 브레이크를 줄이거나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마라톤 첫 출전자는 장거리 달리기의 막바지에 그다지 속도가 떨어지지 않았다면 훈련에서 실시한 비율을 따르는 것이 좋다. 마지막 몇 마일에서 힘들었다면 처음부터 더 자주 워크 브레이크를 가져야 한다. 마라톤 첫 도전자에 제안하는 최소한의 제안은 3-4분간 달리고 1분 걷는 방식을 반복하는 것이다.

아래는 내가 추천하는 달리기와 걷기의 비율이다. 이는 여러분의 km당 페이스에 근거한 것이다.

장거리주는 마라톤에서 예상한 완주 페이스보다 적어도 km당 1분 15초 늦게 달려야 한다. 또 기온이 15도 이상일 때 매 5도 올라갈 때마다 km당 18초 더 늦게 달려야 한다. 자주 걷는 것이 항상 안전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달리기-걷기 비율은 실제 훈련 페이스에 따라 설정되어야 한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되 사정에 따라서 늘리기도 하고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분 달리기/1분 걷기'는 '1분 달리기/30초 걷기'로 조절이 가능하다.


워크 브레이크는 얼마나 빨라야 하나?

대부분의 달림이들이 1분동안 빨리 걸을 경우 정상적인 페이스로 달렸을 때보다 약 15초 정도 늦어질 것이다. 즉 달리지 않고 걸음으로써 15초 손해를 보는 것이다. 천천히 걷는다면 약 20초 정도만 늦어질 것이다.

일단 주어진 거리에서 이상적인 달리기-걷기 비율을 터득하면 워크 브레이크는 막판까지 힘있게 완주할 수 있고 회복도 빠르다. 또 계속 달렸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스태미너와 컨디션을 똑 같이 얻을 수 있다.

워크 브레이크의 구체적인 비율에 너무 구애받지 맗고 필요에 따라 조정한다

매일 같은 거리를 달린다고 해도 스피드, 언덕, 더위, 습도, 휴식 등등에 맞춰 워크 브레이크의 빈도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러분이 생각해서 달리기가 더 어렵거나 회복에 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보다 많은(혹은 더 긴) 워크 브레이크를 갖도록 한다. 그러면 놀라울 정도로 빨리 회복할 것이다.

주중 짧은 달리기에서도 워크 브레이크가 필요한가?

짧은 거리에서 쉬지 않고 계속 달릴 수 있으면 워크 브레이크를 가질 필요는 없다. 워크 브레이크를 가지고자 한다면 그렇게 하라. 주중 달리기에서 워크 브레이크는 가장 빠른 페이스로 장거리달리기로부터 회복시켜 줄 것이다.

워크 브레이크의 다른 장점은?

워크 브레이크는 레이스중 급수나 열량보충식을 먹고 마시기에 좋은 시간이다. 달리기에 비해 걷는 동안 마시고 먹는 것이 훨씬 더 쉽다.

또 워크 브레이크가 있으면 동료와의 대화로 훨씬 더 사교적이 될 수 있고 재미도 있다. 달림이들이 긴장을 풀고 달리기 자체를 즐길 수 있다.

걸을 때 보폭은?

보폭을 짧게 하여 천천히 걷는 게 좋다. 포폭이 크면 종아리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긴장을 풀고 걷리를 즐기도록 한다.

워크 브레이크를 없앨 필요가 있나?

일부 초보자들은 워커 브레이크가 필요없을 때까지 훈련을 쌓아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개인에 따라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것을 추천하지는 않는다. 달리기-걷기의 비율은 여러분이 결정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달리기-걷기의 비율을 여러분이 선호하는대로 맞춰가면서 피로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전체코스에서 워크 브레이크를 할 시점을 어떻게 알 수 있나?

시중의 스톱워치를 이용하여 걸어야 할 시점을 셋팅해놓으면 부저음이 울려 걸을 때와 다시 달려야할 때를 알려준다.

글 : 제프 갤러웨이

Tuesday, December 7, 2010

기도 재목

우리 큰 형님 이 법대 Final Examination 준비 중입니다. 기도 부탁 드립니다. 추운 날씨에 감기 조심 하시고...

Monday, December 6, 2010

달리기를 멈춰야 할 5가지 징후

-- 이글은 퍼온 글입니다 - 정영교

달리기자세에 대해 너무 괘념할 필요는 없는 것같다. 전설적인 달림이로 "새는 날고 사람은 달린다"는 유명한 명언을 남긴 에밀 자토펙은 일반 아마추어 달림이들보다 자세는 더 엉망으로 보인다. 얼굴은 일그러지고 팔은 채찍질하는듯한 자세로 달린다. 또 머리도 많이 흔들면서 달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림픽에서 4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세계기록 보유자인 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도 학생때 10km를 오른쪽에 가방을 들고 달려 등하교하면서 자세가 굳어 팔 흔들기가 부자연스럽다. 그럼에도 그는 중장거리에서 24개의 세계기록을 수립한 금세기 최고의 장거리주자로 꼽히고 있다.

마라톤전문가인 할 힉든(Hal Higdon)은 "일정기간 달리기를 해왔다면 운동을 해감에 따라 여러분의 달리기자세는 향상되어진다"고 했다.

달리기자세는 대부분 여러분의 생체역학(biomechanics)에 의해 정해진다. 어떻게 발이 착지하는가? 한 쪽 팔을 심하게 흔든다면 발의 움직에 따라 균형을 잡고자하는 자연적인 현상일 수 있다. 그래도 좋은 달리기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몇가지 기준이 있다. 다음은 할 힉든씨가 제안하는 달리기자세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다.

● 몸통 : 상체를 똑바로 세워야 한다. 등도 쭉 펴야한다. 지면과 90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누가 "앞으로 좀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을 해도 이를 무시하라. 심지어 언덕을 오를 때도 똑바로 세워 달리는 게 좋다.

● 머리 : 정면을 똑 바로 주시하라. 주위의 경관을 구경하지 않는다면 시선은 전방 10m지점의 지면을 주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일직선으로 달리도록 한다.

● 팔 : 팔은 자연스럽게 흔든다. 팔뚝과 팔죽지와의 각도는 직각을 유지한다. 손은 가볍게 주먹을 쥐고 배꼽높이로 유지한다. 팔은 다리와 리듬을 맞춰 흔들고 다리가 팔흔들기를 제어하도록 해야하며 그 반대로 해서는 안된다.

● 착지 : 가장 자연적인 착지는 발 중간부위로 착지하는 것이다. 먼저 발 볼부위로 착지하고 다음에 뒤꿈치가 지면에 닿는다. 그리고 발가락으로 밀면서 전진한다. 개인차에 따라 더 앞쪽에서, 또는 더 뒤쪽 부위에서 착지하는데 이는 어떤 게 더 자연스럽게 느끼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이런 자연스러운 발걸음을 교정하기위해서는 다소의 '위험'을 무릅써야 한다.

--- 이 부분은 이견의 여지가 많더군요. 유명한 선수들의 비디오를 분석해 보면 대부분이 뒷꿈치 착지를 쓰더굼요. 제 생각엔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자신에게 가장 편안한 착지가 좋지 않을까 싶네요.. 전 좀더 공부한 후에 다시 올리겠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문구, 계란위를 달리 듯이, 불이 붙어 있는 조개탄 위를 빠르게 지나가듯이 달리라더군요. 힘을 들이지 말라는 말 같은데 생각은 하는데 아직 몸이 말을 듣지 않네요. - 정영교

첫 발걸음이 다소 불편할 수 있다. 일정기간 달리기를 해왔다면 운동을 해감에 따라 여러분의 달리기자세는 향상되어진다. 좋은 코치가 자세개선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달림이들은 무리하게 수정하려하지말고 자신에게 잘 맞는 자세를 터득해가야 한다.

참고자료 : Hal Higdon - How to improve your running form

Sunday, December 5, 2010

Buffalo Grove Mexicanos


Hola, Hombres!!!

5.2 mile 완주

오늘 아침 Independence Park 에서 정 영교 집사님 이 5.2 mile 완주 하셨읍니다. 축하 해요. 하느님 이 얼마나 기쁘 셨을가요.

곽 권사님 생일 식사.



Old Country Buffett 에서 곽 권사님 생일 "파티". 생신 축하 합니다. 아줌마, 바뿌시군요. 대화 좀 
하시지...

New Members


우리 New Member  들 하고 아침식사 @ McDonalds.한영합니다. 아줌마, 그 모습이 좋네요.

Saturday, December 4, 2010

Welcome to our new members

홍태성 씨 and 정성호씨, 오늘 우리 247 Runners Club join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주 하느님 을 위해서 같이 뛰시기를 기원합니다.

내일은 Route 137 에 Independence Park 에서 모입니다.

Thursday, December 2, 2010

Calendar

곽 권사님, 생일 축하합니다!!!!

Calendar  를 올렸읍니다. 참고 하시고, Event  있으시면 추가 해주세요.

큰 형님이 올리신 글


폴로우하는 방법을 몰라서 접속이 늦었습니다.
247Runners 회원이 늘어나니 블러그로 communication하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보입니다.

로고 디자인은 어느 것이나 좋아 보입니다.
잉크가 뭉치지 않게 할려고 숫자 사이 끊어놓는 것 아닌가 합니다.

정 춘식 씨 아킬레스 건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기도합시다.
지난 일요일 정 영교 씨 연속완주했나 궁금합니다.
곽 성식 씨 생일 축하합니다.
정확한 날짜는 며칠인가 모르겠군요.

날씨 추워지는 데 우리 멤버들과 그 가족들 건강을 위해 기도합니다. 올 겨울 열심히 훈련할 걸 생각하면 기쁩니다.

저는 오늘로 이번학기 강의는 끊났지만 다음주 월요일부터 시험이라 마음이 바쁘고 긴장이 됩니다.
처음으로 follow up합니다.
감사합니다.

Wednesday, December 1, 2010

병원에 다녀왔습니다.

병원에 다녀왔습니다. 의사가 한달간은 뛰지말라고 합니다.
달리는 건 못합니다만, 토요일 곽권사님 생일파티와 회장님 주최 연말파티에는 꼭, 반드시 참석하겠습니다. ^^